본문 바로가기

육묘장3

반응형
2021년 5월 11일 DAY19 (화) 08시~12시 참석자 : 큰바위, 돌덩이, 쭈니, 지구, 요비따, 라미 육묘장 뒷문-큰나무사이 수로확보, 씨앗퍼짐 예방을 위한 검질제거 작업 아열대터널 돌고르기, 퇴비넣기, 평탄화 작업 상추따는 방법 얼갈이 생사확인 2021. 10. 30.
2021년 4월 14~15일 DAY8 2021년 4월 14일(수) 08시~12시 참석자 : 큰바위, 쭈니, 요비따, 라미 검질매기 모종만들기 (아열대작물) DAY9 2021년 4월 15일(목) 08시~12시 참석자 : 큰바위, 돌덩이, 쭈니, 요비따, 라미 얼갈이 수확 장애인 프로젝트- ‘두리함께’ 대표님, 직원분들과 미팅 1) 목적 : 장애인 분들은 흙을 만질 수 있는 경험의 기회자체도 어렵다. 사회적 농업이 무엇인지 인식하는 것 장애인을 내세우지 않고 누구나, 모두의 개념으로 접근이 필요 2) 개선이 필요한 부분 지적 -주차장에 보도블럭 휠체어 사용이 어려움. 야자매트도 용이하지 않으나 현재 주차장 블록은 사용 불가함 ---> 담을밭 입구앞에 장애인주차장으로 전환 협의 -육묘장입구 시멘트부분 경사도 조절이 필요함 -커피나 바비큐.. 2021. 10. 17.
2021년 4월 6일 ~ 2021년 4월 7일 DAY4 무 수확하기 트렉터 운전연습 관찰일지 쓰는 법 육묘장 온도 조절 중요함 (낮에 기온이 오르면 양쪽 환기창을 열어준다.) DAY5 모종판 물주기 책 '흙과 비료이야기' 1) 무농약, 친환경, 유기농? - 유신때 우리나라 농업은 생산성농정을 추구, 맛 없고 생산성이 높은 통일벼를 많이 심었음. - 1997년 친환경 육성법이 생기면서 유기농을 시작하게 되었음. 관행 ===> 저농약 - 화학비료 관행과 동일 - 농약을 1/2 사용 - 지금은 사라졌음 (감시와 검사가 강조됨) ===> 무농약 - 2011년 화학비료 1/3 - 농약은 사용하지 않는다. - 농업에 철학이 없어지고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 ===> 유기농 - 유기농으로 가는 과정에서 전환기 3년이 발생됨. (해외에서는 관행, 유기농 두가지 단계만.. 2021. 10. 6.